본문 바로가기
장애인 체육의 모든 것

장애인 생활 체육 현황과 참여 조건 조성

by 머무는 순간들 2024. 4. 3.
반응형

이번 편에서는 장애인 생활체육에 대해

▲ 장애인 생활 체육 현황

▲ 장애인 생활 체육 참여여건 조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 증진 정책은 미참여자의 참여 유도, 참여자에 대한 편의 증진이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습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장애인들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전반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인데,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최근 5개년 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2019년 이후 2021년까지 감소했는데, 특히 2021년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최근 5개년 중 가장 낮았습니다(20.2%). 이후 코로나19의 영향이 완화되면서 2022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26.6%로 조사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이 비율은 주 2회 이상(1회당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장애인 생활체육 완전 실행자(최근 1년간 재활치료 이외의 목적으로 주 2회 이상, 1회 30분 이상 집 밖에서 운동을 하는 자)’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한편 체육시설은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2022년 기준 시・도별 장애인 체육시설 현황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반다비 체육센터(장애인형 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는 장애인이 우선적으로 이용하되 비장애인들도 함께 활용하는 사회통합형 체육시설로, 2021년 13개소에 이어 2022년에 10개소를 신규 선정하였습니다. 또한 장애인 생활체육 동호회 현황도 장애인 생활체육 현황을 살펴보는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다음의 표는 2022년 기준 시・도별 장애인 생활체육 동호회 현황입니다. 2022년 시・도별 장애인 생활체육 동호회는 총 943개로, 이는 2021년 996개보다 약 5.3%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들 생활체육 종목 중 가장 많은 동호회를 보유한 종목은 볼링(100개), 탁구(79개), 배드민턴(65개) 순이었습니다.

반응형

 

- 시도 장애인 생활체육 동호회 및 생활체육지도자 배치현황(2022)

 

 

- 반다비 체육센터 선정현황(2024)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여건 조성

 

정부는 장애인 생활체육 환경조성을 위해 2006년부터 지방・소외지역 생활체육 확산, 비활성화 종목육성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장애인체력인증센터’를 운영하여 모든 연령 및 계층이 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개인별 체력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개별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신규 개소한 5개 센터를 포함하여 전국 15개 센터에서 체력측정 1만 6,405명, 체력증진교실 1,114명이 참여하였습니다. 또한 장애인의 스포츠 향유권 확대를 위한 ‘장애인 스포츠강좌 이용권 지원’이 2019년 시범사업으로 실시되었으며, 지원 대상 및 규모를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스포츠강좌 이용권 1만 2,147명, 단기 스포츠 강좌 1,996명 등 총 1만 4,143명이 혜택을 받았으며, 스포츠강좌 이용권 가맹시설은 2,525개소였습니다. 이외에도 정부는 찾아가는 생활체육 서비스 운영, 반다비 체육센터 건립 지원,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생활체육 휠체어 및 용품 지원 등을 추진하였습니다. 최근 5년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 여건 조성 현황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2018년에는 지역별 생활체육연합회 및 종목별 동호회 지원 확대,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보급 및 확대, 찾아가는 생활체육 프로그램 전개와 생활체육 홍보캠페인 등 대국민 홍보 강화의 사업목표를 설정하며, 2017년에 실시된 생활체육 기초조사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장애인 생활체육 진흥을 위하여 장애인체력인증센터 3개소(광주, 인천, 대전)를 선정하여 재정을 지원하였습니다. 2019년도에는 장애인 체력인증센터를 신규로 3개소(충남, 전북, 대구) 추가 선정하여 운영하기 시작하였고, ‘찾아가는 생활체육 서비스’ 차원에서 콜서비스나 이동차량 지원, 생활체육정보센터 누리집을 지속적으로 운영하였습니다. 2020년에는 장애인체력인증센터 2곳이 신규 개소(서울, 경남)하였으며, 장애인 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인 반다비 체육센터 건립 지원 사업이 2019년 30개소에 이어 2020년에도 23개소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습니다. 나아가 ‘찾아가는 생활체육 서비스’와 ‘2020년 장애인 생활체육 조사’가 지속되었으며, 장애인 휠체어(범용 스포츠 휠체어, 골프장 전용 스쿠터)와 생활체육 용품 구입비(5억 9,500만 원)가 지원되었습니다. 2021년에는 장애인체력인증센터 2개소가 신규 개소하였으며 찾아가는 생활체육 서비스가 운영되었다. 장애인생활체육조사를 통해 장애인 생활체육 실행 실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 건립 지원 역시 13개소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습니다. 장애인생활체육을 위한 143대의 휠체어가 보급되었으며, 장애인 시・도지회의 생활체육용품 구입을 위한 비용(6억 9,500만 원)이 지원되었습니다. 2022년에는 신규 4개소를 포함한 총 15개소의 장애인체력인증센터를 지원하였으며 찾아가는 생활체육 서비스 운영, 장애인생활체육 휠체어 및 용품 지원(휠체어 총 45대, 용품구입비 5억 8,500만 원)등의 사업이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장애인들의 생활체육 참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장애인 생활체육조사가 시행되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정부와 대한장애인체육회의 장애인생활체육 각종 프로그램 지원에 관한 내용과 경기도와 경기도장애인체육회에서는 어떠한 지원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