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편까지 장애인체육 행정조직 및 단체(중앙정부의 체육행정조직, 지방자치단체의 체육조직, 체육단체), 장애인 생활체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편 부터는 장애인체육에서 전문체육 분야 중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등록 현황과
▲ 이천선수촌 운영 현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부 차원의 장애인 전문체육 분야에 대한 설명과 지역(경기도)의 장애인 전문체육를 함께 알아보고,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광역단위의 운영내용을 연계 비교하며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 장애인 전문체육 현황 ◈
장애인 전문체육의 선수육성단계는 꿈나무선수-신인선수-국가대표선수로, 전문체육 경기력 향상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에 힘입어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대회에는 국외 개최 최대 규모 선수단(총 79명)이 참가하여 젊은 선수들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2021 하계데플림픽에서는 역대 최대 메달(총 58개)을 획득하여 4회 연속 종합 3위를 달성하였습니다. 정부는 장애인 전문체육을 위해 지원 예산을 증액하고, 장애인실업팀(직장운동경기부)을 지속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22년 26개 팀 지원), 체계적인 훈련지원을 위해 이천선수촌 시설을 보완하는 등 장애인 전문체육 인프라 구축과 국가대표 훈련여건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애인 전문체육 공정성 제고를 위해 상임심판 제도를 운영하고 심판아카데미 개최를 통한 심판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대표 선수의 상시훈련을 시행하였으며, 특히 엔데믹체제 전환에 따른 이천선수촌 집합 훈련 및 촌외훈련을 시행하여 국가대표 상시 훈련 및 하계 데플림픽 대회 대비 30일 특별 훈련 지원을 시행하였습니다.
◈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등록 현황 ◈
‘장애인선수’란 대한장애인체육회 가맹 경기단체에 선수등록을 마친 자를 의미합니다. 등록은 시・군・구 경기단체에 선수등록 신청서를 제출한 후, 해당 시・도 장애인체육회 선수등록을 확인받고 해당 중앙경기단체의 최종 승인을 받으면 완료됩니다. 다음 표는 2022년의 장애인선수 등록현황입니다.
□ 시도 등록 선수 현황(2022)
2022년 현재 장애인선수로 등록된 인원은 총 1만 4,289명으로서, 남자선수가 1만 570명(74.0%), 여자선수는 3,719명(26.0%)인데, 2021년의 1만 3,178명에 비해 1,111명이 증가했습니다. 다음 표는 2022년 기준 종목별 장애인선수 등록 현황입니다. 2022년 종목별 선수등록에서 등록선수 상위 세 종목은 탁구(1,888명, 13.2%), 육상(1,007명, 7.0%), 축구(980명, 6.9%)로 나타났습니다.
□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등록 현황(2019~2022)
◈ 이천선수촌 운영 ◈
이천선수촌은 2005년부터 추진하여 2009년 10월 15일에 개원하였습니다. 시설확충은 2007년부터 2022년까지 4단계에 걸쳐 추진되었습니다.
2007년부터 2009년 1단계에서는 사업비 500억원으로 종합체육동 제1체육관에 농구, 배구, 배드민턴 시설, 2체육관에 실내수영장(50m 8개 레인) 시설, 제3체육관에 역도, 펜싱, 탁구, 유도, 골볼 경기장 시설을 설치하였습니다. 제4체육관은 스포츠의과학실과 체력단련실을 설치하였으며, 144명이 수용가능한 2인 72실의 생활관을 설치하여 선수들의 합숙을 실시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대운동장은 인조잔디 축구장과 육상 트랙을 설치하였으며 기타시설로 선수식당(150석), 세탁실, 기계실, 여가시설(당구장, 게임방, 노래방)등의 선수단을 위한 편의 시설도 구비하였습니다.
이천선수촌 건립 2단계는 사업비 244억원으로 2011년부터 2015년 까지 생활관 2를 28실 88명이 수용가능한 규모로 추가로 설치하였고, 훈련시설로 양궁장(90m×14사로)과 탁구와 휠체어 럭비 경기장인 다기능체육관을 설치하였습니다. 또한 교육시설로 강당, 전시실, 세미나실, 사무실 등을 설치하였고 옥외 체육시설로 시각축구장, 뇌성축구장, 실외 테니스장을 설치하였습니다.,
이천선수촌 건립 3단계는 사업비 232억원으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사격장(50m×10레인, 25m×10레인, 10m×20레인)과 컬링장(컬링장(4레인), 지도자실, 회의실, 사무실 등)이 건축 되었습니다.
이천선수촌 건립 4단계는 사업비 293억원으로 2019년부터 2021년까지로 생활관 102실(1인 1실)이 추가 건립 되었고 체력단련장(체력단련실, 스트레칭실, 측정평가실, 사무실 등)이 확대되며 설치되었습니다.
□ 이천선수촌 건립 단계별 시설 내역
총 사업비 1,169억 원으로 완공된 이천선수촌은 국가대표 선수 훈련과 함께 대관사업도 병행되어 운영되었는데,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이천선수촌의 시설 이용 현황은 표와 같습니다. 2022년 대표선수훈련을 위한 이용 인원은 총 2만 7,170명(’21년 2만 1,289명), 대관은 총 3,755명(’21년 2,939명)으로 전년 대비 6,697명(27.6%) 증가하였습니다.
□ 이천선수촌 시설 이용 현황(2018~2022)
이번 편에서는 장애인 전문체육 현황의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등록 현황과 ▲이천선수촌 운영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장애인 우수선수 발굴‧육성 및 경기력 향상 지원 분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장애인 체육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 전문 체육 국내대회 지원현황 / 전문인력 양성 현황 / 장애인체육선수 복지 (0) | 2024.04.05 |
---|---|
장애인 전문 체육 - 장애인 우수 선수 발굴 및 육성 현황 (2) | 2024.04.05 |
장애인생활체육 프로그램 지원 /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 장애인체육 인식 개선 및 홍보 (0) | 2024.04.04 |
장애인 생활 체육 현황과 참여 조건 조성 (4) | 2024.04.03 |
대한민국 장애인 체육 행정 조직 및 단체 (0) | 202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