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편까지 장애인체육에서 전문체육 분야 중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등록 현황과 ▲ 이천선수촌 운영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장애인체육에서 전문체육의 장애인 우수선수 발굴‧육성 및 경기력 향상 지원 분야 중
▲ 장애인 우수선수 발굴 및 육성 현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부 차원의 장애인 전문체육 분야에 대한 설명과 지역(경기도)의 장애인 전문체육를 함께 알아보고,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광역단위의 운영내용을 연계 비교하며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 장애인 우수선수 발굴 및 육성 ◈
◎ 꿈나무선수 및 신인선수, 국가대표선수 선발
(정부) 꿈나무선수와 신인선수 육성은 국제수준의 경기력을 갖춘 국가대표선수의 세대교체를 위해 30세 이하 선수들을 조기에 발굴하여 육성하는 대한장애인체육회 사업입니다. 다음 표는 장애인 우수선수 선발 현황입니다. 2022년에는 29개 종목에 국가대표선수 442명, 꿈나무선수와 신인선수는 108명이 선발되었으며(’21년 국가대표선수 355명, 꿈나무 및 신인선수 81명). 국가대표 인원이 가장 많은 종목은 축구(43명)였으며, 가장 적은 종목은 알파인스키, 스노보드, 요트 각 4명이었습니다.
(경기도) 장애인체육에 우수한 경기력을 갖춘 선수‧지도자의 발굴 및 육성을 위해 매년 우수한 인력을 지원 하고 있습니다. 2023년도 에는 우수지도자 22명 우수선수 195명을 선정하여 매달 A등급 2백만원 3명, B등급 1백만원 25명, C등급 50만원 50명, D등급 30만원 139명을 선정하여 연간 지원 하였습니다. 또한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 점수비중이 높은 단체종목 9개 팀 107명을 선정하여 연간 6천6백만원을 지원 하였으며, 연령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장애인체육 경기력에 가능성을 보이는 영재 발굴 선수를 16종목에 80명을 발굴하여 연간 1억2천4백만원을 지원 하였습니다.
□ (정부)장애인 꿈나무 선수‧신인선수 및 국가대표선수 선발 현황(2022)/대한장애인체육회
□ (경기도)장애인 우수선수‧지도자‧팀 및 영재발굴 현황(2023)/경기도장애인체육회
◎ 국가대표선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훈련 현황
국가대표선수는 이천선수촌을 포함하여 여러 장소에서 훈련하는데, 이천선수촌 건립 이후부터는 이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국가대표선수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2022년에는 29개 종목에 총 653명(선수 442명, 임원 211명)이 참여하여 전년보다 112명 증가하였습니다. 2022년에는 코로나19 영향 감소에 따라 이천선수촌 집합 훈련 및 촌외훈련을 재개하였으며, 국가대표 훈련에 참여한 인원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육성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육성은 장애인선수의 훈련여건 보장을 통한 경기력 향상과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적 안정성 보장 등을 목적으로 대한장애인체육회에서 2012년부터 시작한 사업입니다. 아래 표는 2022년에 운영된 종목별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현황입니다.
□ (전국)장애인직장운동경기부 종목별 운영현황(2022)
2022년 기준 종목별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운영 종목은 총 26개였고, 총 99개 팀에서 561명(선수 406명, 임원 121명)이 참여하였습니다(’21년 99개 팀 총 561명(선수 440명, 임원 118명)). 정부는 각종 공공기관이나 공공기업, 민간기업의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창단 유도를 위해 지속적인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지원 현황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 장애인 직장운동경기부 지원현황(2018~2022)
2022년 지원한 장애인실업팀은 총 33개로, 총 13억 2,000만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장애인 종목의 실업팀 경기력 향상과 저변 확대를 위한 장애인실업팀 지원 대상은 2022년 총 33개 팀(기존 17개, 창단 9개, 특별지원 7개)이었습니다. 2022년에는 역대 최다인 민간기업 4개소 실업팀 창단을 지원하였습니다.
(경기도) 경기도에서도 장애인직장운동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도내 공공기관, 도내 시군장애인체육회,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창단 지원과 창단 운영중인 단체에 운영 지원을 하는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경기도장애인체육회에서 운영하는 장애인직장운동부는 6개 종목(역도, 볼링, 수영, 보치아, 사격, 컬링)에 22명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3년에 창단한 한사랑학교의 보치아팀(12명)과 화성시청의 전맹축구팀(10명)에 9천9백98만원을 지원하였고 2021년부터 2022년에 창단지원한 단체인 페퍼저축은행 양궁팀(5명)과 파주시장애인체육회 육상팀(3명)에게 3천만원의 운영 지원을 하였습니다.
□ (경기도) 장애인 직장운동부 운영 및 창단‧운영지원 현황(2023)
◎ 전임지도자 배치
(정부)전임지도자 배치는 신인선수 발굴・육성을 강화하고, 전문화된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장애인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극대화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2007년 사격, 역도, 탁구, 테니스 등 4개 종목으로 시작한 전임지도자 배치 사업은 2022년 표와 같이 19개 종목에 각 한 명씩 배치되었으며, 본 사업을 통해 22명의 신규선수가 발굴되었습니다. 전임지도자 배치 사업은 대한장애인체육회 이천선수촌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총 19개 종목에 대하여 전임지도자를 배치하여 운영하였습니다.
□ 전임지도자 배치현황(2022)
(경기도) 경기도장애인체육회에서는 도내 전문체육인의 육성과 지도‧관리를 위해 전임지도자 배치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2023년도 12종목에 전임지도자를 배치하여 14,845건의 지도를 하였고 신인 및 영입 선수 75명을 발굴하여 도내 경기력 향상을 위한 역할을 진행하였습니다.
□ (경기도)전임지도자 배치 현황(2023)/경기도장애인체육회
지금까지
이번 편에서는 장애인체육에서 전문체육의 장애인 우수선수 발굴‧육성 및 경기력 향상 지원 분야 중
▲ 장애인 우수선수 발굴 및 육성 현황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편에서는 장애인전문체육의
▲ 국내대회 지원현황
▲ 전문인력 양성 현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장애인 체육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 전문 체육 국내 메이저 종합 체육대회(하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동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 (0) | 2024.04.08 |
---|---|
장애인 전문 체육 국내대회 지원현황 / 전문인력 양성 현황 / 장애인체육선수 복지 (0) | 2024.04.05 |
장애인 전문 체육 선수 등록 현황과 이천 선수촌 운영 현황 (0) | 2024.04.04 |
장애인생활체육 프로그램 지원 /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 장애인체육 인식 개선 및 홍보 (0) | 2024.04.04 |
장애인 생활 체육 현황과 참여 조건 조성 (3) | 202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