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 체육의 모든 것

장애인 전문 체육 국내 메이저 종합 체육대회(하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동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

by 장애인 체육의 모든것 2024. 4. 8.
반응형


 
지난 편까지 장애인체육에서 전문체육 분야 중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등록 현황과 ▲ 이천선수촌 운영 현황 ▲ 장애인 우수선수 발굴 및 육성 현황 ▲ 국내대회 지원현황 ▲ 전문인력 양성 현황 ▲ 장애인체육선수 복지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편 부터는 장애인체육 국내 메이저 종합체육대회(하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동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부 차원의 장애인 전문체육 분야에 대한 설명과 지역(경기도)의 장애인 전문체육를 함께 알아보고,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광역단위의 운영내용을 연계 비교하며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 하계전국장애인체육대회 ◈

1981년 UN이 제정한 세계장애인의 해를 맞이하여 장애인체육은 제1회 하계전국장애인체육대회를 개최함으로써 발전의 전기를 맞이하였습니다. 그 이전까지 정립회관이 주최하는 ‘전국지체부자유청소년체육대회’, 대한민국상이군경회가 주최하는 ‘전국상이군경체육대회’, ‘전국정신지체인축구대회’ 등 각 장애 유형에 따른 대회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모든 장애인이 참여하는 종합체육행사는 이 대회가 최초였습니다. 1981년 제1회 대회는 한국장애인재활협회가 개최했고, 2회부터 4회까지는 한국장애인재활협회와 문화방송이 공동주최하였습니다. 표는 1981년 첫 대회부터 2022년까지 진행된 하계전국장애인체육대회 개최 현황입니다.
 

□ 하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개최 현황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1988년 서울올림픽과 2002년 부산아시아경기대회 개최 해를 제외하고 1989년부터 「다함께, 굳세게, 끝까지」라는 슬로건 아래 매년 (재)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주최 및 주관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하지만 제10회 하계전국장애인체육대회 이후 서울과 경기도 일원에서만 대회가 개최되면서 몇몇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장애인 선수들의 참여 의식 결여, 일반시민 참여 곤란(군부대가 선수촌 및 경기장이었기에), 서울·경기 지역의 빈번한 대규모 행사로 인한 국민 관심 분산, 장애인체육 홍보 부족 등이 대표적인 문제였습니다. 이에, 장애인체육대회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고, 장애인 복지의 시·도간 균형발전을 도모하며, 장애인체육의 저변 확대 및 지역주민 관심 제고를 위한 전국장애인체육대회의 순회 개최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많은 논의 끝에 2000년 인천광역시에서 개최된 제20회 대회를 기점으로 전국 순회개최 제도가 시행되었고, 2005년 11월 25일 대한장애인체육회 설립 이후 26회 대회부터는 대한장애인체육회 주최로 대회가 준비 및 개최되기 시작했습니다. 2022년 열린 제42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2022년 10월 19일부터 10월 24일까지(6일간) 울산에서 개최되었고, 총 9,322명(선수 6,022명, 임원 3,300명)이 참여했습니다.
 

◈ 동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

장애인들의 동계스포츠 참여 분위기 및 인구 제고와 국제 동계 장애인스포츠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2004년부터 동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이 대회는 하계종목에 비해 충분히 발전하지 못했던 동계종목에 대한 관심을 유도함으로써 동계 장애인스포츠를 활성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표는 지금까지의 동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개최 현황입니다.
 

□ 동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개최 현황

 
 
동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여건상 동계 스포츠 시설(스키장 등)이 밀집된 지역에서 개최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에 2004년 1회 대회부터 거의 모든 대회가 용평이나 무주 등, 강원도 일대에서 치러졌습니다. 2018년 동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평창동계패럴림픽대회 때문에 개최되지 않았습니다. 강원도 일원에서 펼쳐진 2020년 제17회 전국장애인동계체육대회는 국내 코로나19 감염 확산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2020년 2월 11일부터 14일까지 4일간 진행되었습니다. 대회에 참가한 선수단 규모는 총 922명(선수 461명, 임원 461명)으로 역대 대회 중 가장 많은 인원이 참여했습니다. 2021년 장애인동계체육대회는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따라 개최되지 않았습니다. 2022년에 열린 제19회 동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2월 13일부터 16일까지 4일간 진행되었습니다. 참가 선수단은 총 928명(선수 448명, 임원 480명) 규모로 역대 최다 인원이 참가하였습니다.
 
 

◈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 ◈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는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에게 체육활동의 기회를 제공하여 장애학생의 건강증진과 여가선용, 사회통합, 다양성의 존중과 포용성 함양을 목적으로 개최되는 대회입니다. 제1회 대회는 지역별로 분산되어 자체 개최되었고, 2회 대회부터 본격적으로 한 지역에서 실시되었습니다. 표는 2007년 1회 대회부터 지금까지 치러졌던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 개최 현황입니다.
 

□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 개최 현황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는 초등학교부, 중학교부, 고등학교부로 구분되어 총 15개 종목에 출전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어 왔습니다. 여기에 ‘전시종목’이 포함되면서 2018년부터는 16개 종목이 대회에서 치러졌습니다. 이 16개 경기종목은 ‘육성종목(패럴림픽 및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종목)’과 ‘보급종목(생활체육 저변 확대를 위한 종목)’으로 나뉘고, 여기에 ‘어울림스포츠’로서 슐런(Sjoelen)이 ‘전시종목’으로 포함되는 것입니다. 2016년 이후 매 대회 참가 인원이 3,000명을 넘는 등 성황리에 개최되어 왔으나, 2020년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는 코로나19 감염 확산에 따라 대회가 취소되었습니다. 2021년에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장애학생들의 체육활동 증대를 위해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를 비대면 온라인 대회 방식으로 종목별로 개최하여 성공적으로 대회를 완료하였습니다. 2022년 제16회 대회는 5월 17일부터 20일까지 총 4일간 경북에서 개최되었으며, 코로나19 확산 이후 3년 만에 개최지 주관으로 장애 학생선수를 위한 경합과 교류의 자리가 마련되어 선수 1,425명, 임원 1,671명 등 총 3,096명이 참가하였습니다.
 
 

■ 경기도의 2022년 종합체육대회 참가 현황

 


 
이번 편에서는 장애인체육 국내 메이저 종합체육대회(하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동계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장애인 국제체육 분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